ABOUT ME

음악가 히사이시조, 수학 포스팅 등 개인블로그 Contact : tendo04@naver.com

Today
Yesterday
Total
  • [고등수학] 다항식의 연산
    카테고리 없음 2020. 12. 10. 08:00
    반응형

    다항식의 정리

     

    다항식을 특정한 문자에 대하여 차수가 높은 항부터 낮아지는 순서로 정리하는 것을 그 문자에 대하여 내림차순으로 정리한다라고 하고, 차수가 낮은 항부터 높아지는 순서로 정리하는 것을 그 문자에 대하여 오름차순으로 정리한다고 한다.

     

    다항식의 덧셈과 뺄셈

     

    다항식의 덧셈은 동류항끼리 모아서 계산한다. 이때 두 다항식의 차 ABAB의 각 항의 부호를 바꾼 B를 더한 것과 같다. 즉, AB=A+(B)

     

    다항식의 덧셈의 성질

    다항식 A,B,C에 대해

    1. (교환법칙) A+B=B+A

    2. (결합법칙) (A+B)+C=A+(B+C)

     

    다항식의 곱셈

     

    다항식의 곱셈은 식을 전개한 다음 동류항끼리 모아서 정리한다.

     

    다항식의 곱셈의 성질

    다항식 A,B,C에 대해
    1. (교환법칙) AB=BA
    2. (결합법칙) (AB)C=A(BC)


    3. (분배법칙) A(B+C)=AB+AC,(A+B)C=AC+BC

     

    곱셈공식

    1. (a+b+c)2=a2+b2+c2+2ab+2bc+2ca

    2. (a+b)3=a3+3a2b+3ab2+b3,(ab)3=a33a2b+3ab2b3

    3. (a+b)(a2ab+b2)=a3+b3,(ab)(a2+ab+b2)=a3b3

     

    증명.

    1. (a+b+c)2=((a+b)+c)2=(a+b)2+2(a+b)c+c2=a2+2ab+b2+2ac+2bc+c2=a2+b2+c2+2ab+2bc+2ca

     

    다항식의 나눗셈

     

    다항식의 나눗셈을 할 때에는 두 다항식을 내림차순으로 정리한 다음 자연수의 나눗셈과 같은 방법으로 한다.

    다항식 A를 다항식 B(B0)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, 나머지를 R이라 하면 A=BQ+R로 나타낼 수 있다. 이때 R의 차수는 B의 차수보다 낮다. 특히, R=0이면 AB로 나누어떨어진다고 한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반응형
Designed by black7375.